만약 state를 초기화 하거나 함수를 바인딩 하는 것이 아니라면, 해당 Component를 위한 constructor는 구현할 필요가 없다.
constructor는 마운트 되기 전에 호출된다. react component의 constructor를 구현할 때, 다른 문자을 작성하기 전에 super(props)
를 반드시 호출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this.props 는 constructor에서 undefined으로 찾을수 없다.
constructor는 주로 아래의 2가지를 위해서 사용되는데,
1. this.state 를 초기화 할 때.
2. event handler 함수를 객체에 바인딩할 때.
constructor 내부에서 setState를 호출해서는 안되고 필요한 경우, this.state를 이용하여 선언시에 초기값으로 직접 값을 설정해야한다. side-effect(외부간섭/부가효과) 또는 구독을 constructor에서 처리하는 것을 피해야한다. 필요한 경우 componentDidMount를 대신 사용해야한다.
static getDerivedStateFromProps(props, state)
해당함수는 render 함수가 호출되고 난 이후에 바로 실행된다. 초기 마운트 시점과 구독 갱신 시점에 모두 영향을 받으며, 상태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 객체를 하거나 아무것도 업데이트 하지 않기 위해서 null을 반환해야 한다.
1. 만약 부가 효과를 실행해야 한다면, componentDidUpdate를 활용하라.
2. prop가 변경되었을 때 일부 데이터에 대해서만 재계산하고 싶다면, 메모제이션을 활용해야한다.
3. 만약 일부 state를 초기화하고 싶다면, 해당 링크의 방식(fully controlled , fully uncontrolled)을 활용할수 있다.
render()
render 함수는 class 컴포넌트에서 필요한 함수로써, function 컴포넌트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render 함수는 shouldComponentUpdate의 반환 값이 false 일 경우 실행되지 않는다.
componentDidMount()
Component가 마운트되고 난후 즉시 componentDidMount가 실행된다. Dom 노드에 대한 초기화가 필요한 경우 여기에서 작업해야한다. 원격의 Endpoint로 부터 데이터를 가져와야하는 경우에도 해당 함수의 위치에서 진행하면 된다. 만약 setState를 이 함수안에서 사용한다면 rendering을 발생시킬 것이고 이는 브라우저가 해당 화면을 갱신하기 전에 발생한다. 이것은 비록 render가 두번 호출되더라도 사용자가 중간과정을 보지 않을 수 있도록 보장한다. 하지만 이 패턴은 성능 상의 이슈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constructor()에서 초기값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Updating
static getDerivedStateFromProps(props, state)
shouldComponentUpdate(nextProps, nextState)
해당 함수는 React가 component의 결과아 state나 props의 변화에 의해 영향 받지 않았을 경우 shouldComponetUpdate에 의해 알릴 수 있다. 해당 함수는 신규 props나 state의 변화에 의해 rendering되기 전에 실행된다. 기본 값은 true이며 forceUpdate가 실행된 경우에는 해당 함수를 호출되지 않는다.
이 함수는 성능 최적화로써 오로지 존재하는데, shouldComponentUpdate를 사용하는 것대신에 PureComponent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라.
결과값을 false로 반환할 경우, UNSAFE_componentWillUpdate, render, componentDidUpdate를 실행하지 않을 것이다.
render()
getSnapshotBeforeUpdate(prevProps. prevState)
가장 최근의 렌더링된 결과가 commit 되었을 때 실행된다. 이 함수는 정보가 잠재적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을때, 컴포넌트가 Dom으로 부터 일부 정보를 보관하는 것을 허용한다. 생명주기 족에서 반환된 모든 값은 파라미터로 componentDidUpdate()로 전달될것이다.
componentDidUpdate(prevProps, prevState, snashot)
해당 함수는 갱신이 일어난 후에 즉시 실행된다. 해당 함수는 초기 render를 위해서 호출되지 않는다.
해당 함수는 컴포넌트가 갱신되었을 때, DOM에 대해서 처리할 수 있는 기회로 사용하면 된다. 이는 네트워크 요청등의 처리를 하기에 적합하다.
UnMounting
componentWillUnMount
해당함수는 컴포넌트가 언마운트 되기 전이나 제거될 때 호추된다. 해당 함수안에서 초기화 및 정리를 실행할 수 있다.
ErrorHandling
static getDerivedStateFromError()
해당 생명 주기는 상위 Component(해당 함수를 선언한 컴포넌트)를 감싸고 있는 자식(하위)컴포넌트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실행된다. 파라미터로 전달된 에러를 받을 수 있고 state를 갱신하기 위한 값을 반환해야 한다.
componentDidCatch(error, info)
해당 생명 주기는 상위 Component(해당 함수를 선언한 컴포넌트)를 감싸고 있는 자식(하위)컴포넌트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실행된다. 파라미터로 전달된 에러를 받을 수 있고 state를 갱신하기 위한 값을 반환해야 한다.
2개의 파라미터를 전달받는데,
1. error - 전달된 Error
2. info - 컴포넌트(에러를 던진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키) 스택가지고 있는 객체
기존의 생명주기 함수들
아래의 함수들은 version 17 까지는 동작할 예정이다. 하지만 16.3 이후로 정립된 생명주기 함수들을 활용하여 개발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전부터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와 관련된 함수들에 대한 많은 이슈가 있어왔고 이를 해소하고자 16.3 이후 부터 위의 함수들을 제공하고 있다.
UNSAFE_componentWillMount()
마운팅이 일어났을 때, 실행된다. 이 것은 render 함수 전에 실행된다.
UNSAFE_componentReceiveProps()
해당 함수의 경우, 버그와 불일치성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한다.
마운트된 컴포넌트가 새로운 props를 받았을 때 실행된다.
UNSAFE_componentWillUpdate()
새로운 props나 state를 받았을 때, 실행된다.
해당함수는 만약 shouldComponentUpdate가 false를 반환할 경우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React Native App을 개발하기 위해서 Component Cycle에 대해서 잘 알아두어야 하는데, 이번에는 Component Cycle 및 Component를 구성하는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려 한다.
Component's lifecycle
Component의 생명주기는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Mounting
컴포넌트 객체가 생성된 후, DOM으로 주입(삽입)될 때
React Native의 실행되는 함수의 순서는
- constructor
- static getDerivedStateFromProps ( React v16.3 부터 제공 ) - componentWillReceiveProps ( React v16.3 이전 )
- render
- componentDidMount
2. Updating
브라우저 상에 React 컴포넌트가 표시되거나, 새로운 갱신(변경)이 발생했을 때
React Native의 실행되는 함수 순서는
- static getDerivedStateFromProps ( React v16.3 부터 제공 ) - componentWillReceiveProps ( React v16.3 이전 )
- shouldComponentUpdate
- render
- getSnapshotBeforeUpdate ( React v16.3 부터 제공 ) - componentWillUpdate ( React v16.3 이전 )
- componentDidUpdate
3. UnMounting
해당 컴포넌트가 더이상 필요하지 않고, 컴포넌트가 해제(분리)될 때
React Native 의 실행되는 함수 순서는
- componentWillUnmount
4. Error Handling
생명주기 함수 내, 생성자 내, 모든 하위 컴포넌트의 생성자 내의 렌더링 과정 상에서 에러가 발생할 때
React Native 의 실행되는 함수 순서는
- getDerivedStateFromError
- componentDidCatch ( React v16.3 부터 제공 )
> getDerivedStateFromError, componentDidCatch는 동일한 에러를 잡는데, 실제 전달되는 인자가 다르다.
~ getDerivedStateFromError 는 "render" 단계에 호출되며, 외부 함수에 의한 영향 ( SideEffect ) 까지 포함되지 않는다.
~ sideEffect가 포함되어야하는 경우에는 componentDidCatch를 사용해야 한다.
위의 4가지 상태에 따라 React Native(React)에서 제공해주는 함수들이 존재하며, 화면 초기화 시점이나 state가 SetState에 의해서 변경될 때, state에 의해서 갱신이 일어날 경우, 아래에 제공하는 함수를 이용해서 우리가 원하는 기능 또는 초기화 작업 등을 처리할 수 있다.
Component Lifecycle은 React v16.3 이전과 이후로 나뉘고, React v17 부터는 이전에 Deprecated된 함수들은 사용할수 없게 되었다.
이번에는 Reactive Stream을 이용해서 실질적으로 현업에서 사용할 만한 코드를 작성해보겠다.
요구사항
- Oracle DB , OJdbc, DBCP2
- org.reactivesreams
- ExecutorService
A, B라는 Oracle DB User에 대해서 TB_USER로 부터 USER_ID를 가져와 출력하라는 요구 사항을 접수 받았다. 하지만 이 DB User의 수는 상황에 따라서 증가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고객이 빠른 응답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이 필요하다고 하자. 이와 같은 요구사항을 ReactiveStream(Java8)을 이용해서 구현해본다.
1번 : Main 진입점
DataSource를 생성한뒤 각각의 Command 객체 생성시 전달하여 DB Select시에 사용하려고 한다.
해당 부분은 Controller 를 통해서 전달받은 파라미터 및 구분자에 의해서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이라고 가정한다.
즉 commandHadlerList의 배열이 요청 갯수에 따라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asicDataSource dataSource = new BasicDataSource();
dataSource.setDriverClassName("oracle.jdbc.driver.OracleDriver");
dataSource.setUrl("jdbc:oracle:thin:@***********:****/****");
dataSource.setUsername("*****");
dataSource.setPassword("*****");
BasicDataSource dataSource2 = new BasicDataSource();
dataSource2.setDriverClassName("oracle.jdbc.driver.OracleDriver");
dataSource2.setUrl("jdbc:oracle:thin:@***********:****/****");
dataSource2.setUsername("*****");
dataSource2.setPassword("*****");
CommandHandler commandHandler1 = new CommandHandler(1);
commandHandler1.add(new SelectDBCommand(dataSource));
commandHandler1.add(new SelectDBCommand(dataSource2));
List<CommandHandler> commandHandlerList = new ArrayList<>();
commandHandlerList.add(commandHandler1);
Publisher<CommandHandler> publisher = new SamplePublisher(commandHandlerList);
Subscriber<CommandHandler> subscriber = new SampleSubscriber(commandHandlerList.size());
publisher.subscribe(subscriber);
}
2번 : Publisher
Observer 패턴의 Observable과 같은 역할을 하며, Subscriber를 구독할 수 있게 설정하여 실행시 Publihser에서 Subscriber로 onNext, onComplete, onError를 처리할 수 있다.
public class SamplePublisher implements Publisher<CommandHandler> {
private final List<CommandHandler> commandHandlerList;
public SamplePublisher(List<CommandHandler> commandHandlerList){
this.commandHandlerList = commandHandlerList;
}
@Override
public void subscribe(Subscriber<? super CommandHandler> subscriber) {
subscriber.onSubscribe(new Subscription() {
@Override
public void request(long n) {
commandHandlerList.forEach(subscriber::onNext);
// 데이터 전송 처리 완료
subscriber.onComplete();
}
@Override
public void cancel() {
}
});
}
}
3번 : Subcriber - Publisher 내부에서 호출한 각기 함수(onNext, onComplete, onError)에 맞게 진행된다.
SampleSubscriber가 생성되는 시점에 만들어진 ExectorService에 대해서 Java의 Future를 활용하여 onComplete 시점에 ExecutorService를 Shutdown 시킬 수 있게 처리하였다.
public class SampleSubscriber implements Subscriber<CommandHandler> {
private final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List<Future<?>> futures = new ArrayList<>();
public SampleSubscriber(int executeCount){
this.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executeCount);
}
@Override
public void onSubscribe(Subscription subscription) {
subscription.request(1);
}
@Override
public void onNext(CommandHandler commandHandler) {
futures.add(executorService.submit(commandHandler::StartAPICall));
}
@Override
public void onError(Throwable t) {
}
@Override
public void onComplete() {
for(Future<?> future : futures) {
try {
future.get();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
}
executorService.shutdown();
}
}
4번 : Command Handler
3번 항목과 처리되는 방식은 거의 유사하며, Command Handler에서 각각의 Command를 ExecutorService를 이용하여 실행시키는 구조이다.
public class CommandHandler {
private final List<Command> commandList = new ArrayList<>();
List<Future<?>> futures = new ArrayList<>();
private final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public CommandHandler(int threadCount){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threadCount);
}
public void StartAPICall() {
commandList.forEach(command -> {
futures.add(executorService.submit(command::execute, "Success"));
});
for(Future<?> future : futures) {
try {
future.get();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
}
executorService.shutdown();
}
public synchronized void add(Command command) {
commandList.add(command);
}
}
5번 : Command
public interface Command {
public void execute();
}
6번 : Command 구현 - SelectDBCommand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조회하고, 이를 용도에 맞게 처리하는 Command의 구현체이다. SelectDBCommand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에 필요한 정보를 모두 합성 방식을 이용하여 미리 준비하고, execute가 호출 되는 시점에 활용한다.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했을 때 ThreadSafe하게 구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public class SelectDBCommand implements Command {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ublic SelectDBCommand(DataSource dataSource){
this.dataSource = dataSource;
}
@Override
public void execute() {
JdbcTemplate jdbcTemplate = new JdbcTemplate(dataSource);
List<User> list = jdbcTemplate.query("SELECT USER_ID FROM *********", new CustomMapper());
System.out.println("START" + Thread.currentThread().getName());
list.stream().forEach(item -> {
System.out.print(item.getUSER_ID() + ",");
});
System.out.println("END" + Thread.currentThread().getName());
}
}
7번 : CustomMapper - JDBC Rowmapper
JdbcTemplate의 RowMapper를 구현하여 필요에 맞게 값을 바인딩 처리한다.
public class CustomMapper implements RowMapper<User> {
@Override
public User mapRow(ResultSet resultSet, int i) throws SQLException {
User user = new User();
user.setUSER_ID(resultSet.getString("USER_ID"));
return user;
}
}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2000건의 정수 배열을 받은 후 해당 각각의 결과 값을 합하는 요구사항이 발생하였다.
생성해야할 정수 배열은 난수로 이루어진 값으로 1000개의 아이템을 가지고 있다.
추가 요구사항
난수로 생성되는 2000건의 정수 배열에 대해서 각 배열의 총합이 음수인 값은 제외하고, 양수인 값을 추출하여하 출력한다.
( 사실, 자바8의 Stream API를 사용한다면 이런 힘들고 복잡한 작업을 전혀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Reactive Stream의 기본이 되는 개념을 익히고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Akka, RXJava, Java9 Flow API 등등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진행 중인 것이다. )
2편에서 다룬 코드 샘플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였다.
아래의 코드에서 중요한 부분은 Publisher 1, Publisher 2를 연결하면서 처리되는 Data 흐름이다.
데이터 전달 순서 : CustomPublisher -> FilterPublisher -> CustomSubscriber
1번 : Main 진입점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000개의 난수 배열을 가진 아이템 생성 - 각각을 합쳐
BlockingQueue<Command> blockingQueue = new ArrayBlockingQueue<Command>(500);
for (int i = 0; i < 500; i++) {
IntStream intStream = new Random().ints();
List<Integer> integerList = intStream.limit(1000).boxed().collect(Collectors.toList());
Command command = new IntegerSumCommand(integerList);
blockingQueue.add(command);
}
// Publisher 1
Publisher<Command> publisher = new CustomPublisher(blockingQueue);
// Publisher 2
Publisher<Command> publisher1 = new FilterPublisher(publisher);
// Subscriber
Subscriber subscriber = new CustomSubscriber();
// Start !
publisher1.subscribe(subscriber);
}
2번 : Publisher 1 : Publisher를 구현한 CustomPublisher
public class CustomPublisher implements Publisher<Command> {
private final BlockingQueue<Command> blockingQueue;
private final ScheduledExecutorService scheduledExecutorService = Executors.newSingleThreadScheduledExecutor();
public CustomPublisher(BlockingQueue<Command> blockingQueue){
this.blockingQueue = blockingQueue;
}
@Override
public void subscribe(Subscriber subscriber) {
subscriber.onSubscribe(new Subscription() {
@Override
public void request(long n) {
while (!blockingQueue.isEmpty()){
try {
Command command = blockingQueue.take();
subscriber.onNext(command);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scheduledExecutorService.schedule(() -> {
if(Counter.get() == 500){
subscriber.onComplete();
if(!scheduledExecutorService.isShutdown()){
scheduledExecutorService.shutdown();
}
}
}, 1, TimeUnit.SECONDS);
}
@Override
public void cancel() {
}
});
}
}
3번 : Publisher 2 : Publisher 1을 전달 받아 값을 필터링하는 FilterPublisher
public class FilterPublisher implements Publisher<Command> {
private Publisher<Command> publisher;
public FilterPublisher(Publisher<Command> publisher){
this.publisher = publisher;
}
@Override
public void subscribe(Subscriber<? super Command> subscriber) {
this.publisher.subscribe(new Subscriber<Command>() {
@Override
public void onSubscribe(Subscription subscription) {
subscriber.onSubscribe(subscription);
}
@Override
public void onNext(Command command) {
if(!command.isMinus()){
subscriber.onNext(command);
}
}
@Override
public void onError(Throwable t) {
subscriber.onError(t);
}
@Override
public void onComplete() {
subscriber.onComplete();
}
});
}
}
4번 : Subscriber : 최종적으로 Publisher 2의 데이터 처리를 전달받아 최종값을 출력한다.
public class CustomSubscriber implements Subscriber<Command> {
private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
.newFixedThreadPool(1000);
private Subscription subscription;
@Override
public void onSubscribe(Subscription subscription) {
this.subscription = subscription;
subscription.request(1);
}
@Override
public void onNext(Command command) {
executorService.execute(() -> {
int total = command.getTotal();
System.out.println(String.format("총 값은 %s", total));
});
}
@Override
public void onError(Throwable throwable) {
subscription.cancel();
}
@Override
public void onComplete() {
if(!executorService.isShutdown()){
executorService.shutdown();
}
}
}
5번 : Command Interface
public interface Command {
public int getTotal();
public boolean isMinus();
}
6번 : Command Implementation
public class IntegerHandlerCommand implements Command {
private Optional<Integer> optionalInteger;
public IntegerHandlerCommand(List<Integer> integerList){
Counter.addAndGet();
this.optionalInteger = integerList.stream().reduce(Integer::sum);
}
@Override
public int getTotal() {
return this.optionalInteger.orElse(0);
}
@Override
public boolean isMinus() {
return this.optionalInteger.orElse(0) < 0;
}
}
7번 : Counter Class - Executor Service 종료를 위한 Counter 서비스
public class Counter {
private static int count = 0;
public synchronized static int addAndGet(){
return count ++;
}
public synchronized static int get(){
return count;
}
}
Reactive Stream을 다루기 위해서 아래의 예제를 바탕으로 요구조건을 변경해가면서 코드 위주로 알아보겠다.
요구사항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2000건의 정수 배열을 받은 후 해당 각각의 결과 값을 합하는 요구사항이 발생하였다.
생성해야할 정수 배열은 난수로 이루어진 값으로 1000개의 아이템을 가지고 있다.
Reactive Stream Java 8 버전 기준
1번, Main : 진입점
public class Sample05_reactiveStream0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lockingQueue<Command> blockingQueue = new ArrayBlockingQueue<Command>(2000);
for (int i = 0; i < 2000 ; i++) {
IntStream randomValueList = new Random().ints();
List<Integer> integerList = randomValueList.limit(1000).boxed().collect(Collectors.toList());
Command command = new InsertToDataBaseCommand(integerList);
blockingQueue.add(command);
}
Publisher publisher = new CustomPublisher(blockingQueue);
Subscriber subscriber = new CustomSubscriber();
publisher.subscribe(subscriber);
}
}
2번,Publisher : Publisher를 구현한 CustomPublisher
public class CustomPublisher<Command> implements Publisher<Command> {
private final BlockingQueue<Command> blockingQueue;
private Scheduled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SingleThreadScheduledExecutor();
public CustomPublisher(BlockingQueue<Command> blockingQueue){
this.blockingQueue = blockingQueue;
}
@Override
public void subscribe(Subscriber<? super Command> subscriber) {
subscriber.onSubscribe(new Subscription() {
@Override
public void request(long n) {
while (!blockingQueue.isEmpty()) {
try {
Command command = blockingQueue.take();
subscriber.onNext(command);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 Exception handling.
}
}
executorService.schedule(() -> {
if(Counter.get() == 2000){
System.out.println("onComplete");
subscriber.onComplete();
executorService.shutdown();
}
}, 1, TimeUnit.SECONDS);
}
@Override
public void cancel() {
}
});
}
}
3번,Subscriber : Subscriber를 구현한 CustomSubscriber
public class CustomSubscriber implements Subscriber<Command> {
private Subscription subscription;
private final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1000);
@Override
public void onSubscribe(Subscription subscription) {
this.subscription = subscription;
this.subscription.request(1);
}
@Override
public void onNext(Command command) {
executorService.execute(command::work);
}
@Override
public void onError(Throwable t) {
System.out.println("We Error");
}
@Override
public void onComplete() {
System.out.println("We Finished");
executorService.shutdown();
}
}
4번, Command Interface
public interface Command {
public void work();
}
5번,Command Implementation : 실제 구현 객체
public class InsertToDataBaseCommand implements Command {
private final List<Integer> integerList;
public InsertToDataBaseCommand(List<Integer> listInteger){
integerList = listInteger;
}
@Override
public void work() {
Optional<Integer> sum = integerList.stream().reduce(Integer::sum);
System.out.println(Thread.currentThread().getName() + " Final Result : " + sum);
System.out.println(Thread.currentThread().getName() + " " + Counter.incrementAndGet());
}
}
6번,Counter Class : 수행된 횟수를 저장하고, 가져온다.
public class Counter {
private static final AtomicInteger atomicInteger = new AtomicInteger();
public static int incrementAndGet(){
return atomicInteger.incrementAndGet();
}
public static int get(){
return atomicInteger.get();
}
}
Reactive Programming은 선언적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으로써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과 변화의 전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이것의 핵심은 비동기 (Async) 이벤트와 Observer 디자인 패턴이다. 외부의 이벤트나 데이터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응답을 주고, 규모 탄력적으로 리소스를 사용하며 실패에 있어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Reactive Stream은 Reactive Programming을 근간으로 한 개발을 하기 위한 명세이며, Netflix, Pivotal, TypeSafe의 발의로 시작되었다.
// Publisher
public interface Publisher<T> {
public void subscribe(Subscriber<? super T> s);
}
// Subscriber
public interface Subscriber<T> {
public void onSubscribe(Subscription s);
public void onNext(T t);
public void onError(Throwable t);
public void onComplete();
}
// Subscription
public interface Subscription {
public void request(long n);
public void cancel();
}
// Processor
public interface Processor<T, R> extends Subscriber<T>, Publisher<R> {
}
위의 코드에서 Subscriber의 역할에 대해서 아래의 그림으로 확인해보면,
Publisher, Subscriber, Subscription 사이의 연관관계를 아래와 같이 구성해봤다.